undefined


[보도자료]국민생활 불편을 초래하는 규제를 적극 개선하겠습니다
인쇄
비아이엠 
2020-03-19 08:46:19
조회:15470
답글지움수정 아랫글 목록 윗글
첨부 파일
  • - 제1회 규제혁신심의회서 과도한 규제·불명확한 규정 등 개선과제 심층 논의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25년경까지 즉시 건설 현장 전반으로 보급 가능한 핵심기술 패키지를 확보함으로써 스마트 건설 기술 선두국 반열에 진입하는 한편, 건설산업의 생산성을 25% 이상 향상하고 공사기간과 재해율은 25% 이상 감축해갈 계획이다.

    * 생산성(달러/시간) : 한국 18.7, 스페인 42.9, 영국 30.4, 프랑스 37.1, 독일 32.1(’15년, 건설산업 혁신방안)
     ** 재해천인율(1000×재해자수/근로자수) : 제조업 6.17‰, 건설업 8.43‰(’16년, 산업재해현황분석 보고서)


    국토교통부는 ‘25년까지 약 2천억 원이 투자되는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을 올해 4월에 착수할 예정으로, 1월 20일(월)부터 2월 25일(화)까지 연구기관 공모를 한다.

    이번 공모를 통해 12개 세부과제별 연구기관과 사업단 전체 업무를 총괄하는 사업단장을 선발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국토교통부는 건설산업의 생산성 혁신과 안전성 강화를 위해 ’18년 10월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턴키사업, 스마트건설 지원센터 운영 등을 추진 중이며, 동 사업 역시 이 일환으로 기술혁신을 위한 핵심기술 조기 확보를 위해 추진하는 사항으로, 사업의 타당성을 인정받아 ’19년 6월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하여 사업 추진이 확정되었다.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은 총 4개의 중점분야(12개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올해부터 6년간 약 2,000억 원(총 1,969억 원, 국비 1,476억 원, 민간 493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대형 연구개발(R&D) 프로젝트로서, 토공 장비 자동화와 다수 장비 간 협업 시공을 위한 실시간 통합관제**, BIM 기반 모듈러 시공***, 로봇을 활용한 무인 원격 시공****, 스마트 안전관리 및 디지털 트윈(실제 구조물을 그대로 재현하는 쌍둥이 모델)기반 가상시공 시뮬레이션 등 건설공정 전반을 획기적으로 혁신할 수 있는 주요 핵심기술들이 연구과제로 포함되어 있다.

    * (1분야) 건설장비 자동화 및 관제기술, (2분야) 도로구조물 스마트 건설기술, (3분야) 스마트 안전 통합 관제기술, (4분야) 디지털 플랫폼 및 테스트베드
    ** 드론측량에 의해 초정밀 3-D 디지털 지형모델을 구축하고, 다양한 토공장비(도저, 롤러, 그레이더, 페이버 등)의 운전·제어를 자동화하고 실시간 통합관제
    *** BIM(3D 디지털 구조물 모델)을 토대로 부재제작·조립시 오차 정밀계측·관리
    **** 2대 이상 로봇크레인으로 협업시공하여 교량상판 등 대형구조물을 정밀거치·조립 등


     동 사업은 핵심기술 개발부터 종합적 시험적용(테스트베드)을 통한 개발기술 검증까지 총 3단계로 구분되어 추진될 계획이며, 그간 대부분 300억 이하였던 사업 규모를 2천억대로 대폭 확대하여 실제 대형 건설 현장에서의 실증을 가능하게 하였다.

    * 1단계(’20~’21) 중점분야 내 핵심기술 개발 ⇒ 2단계(’22~’23) 중점분야 간 핵심기술 연계 ⇒ 3단계(’24∼’25) 테스트베드 종합 시험적용 및 검증


     특히, 건설 분야 최초로 실제 발주되는 건설공사 사업과 연구개발(R&D)사업을 연구 착수 시점부터 연계하여 스마트 건설기술에 대한 실검증 사례(Track Record)를 확보하는 ’건설발주 연계 연구개발(R&D) 사업*’으로 추진하여 실용화 가능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 기술적 난이도가 높은 국내외 SOC 건설프로젝트와 연계하여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R&D사업(제6차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 ’17.12)


    이성해 건설정책국장은 “연구과제 상당수가 현재 미국·영국 등 기술 선두국에서도 아직 초기 연구단계이거나 제한적·시범적 수준으로 현장 적용 중으로 ‘25년경까지 이 기술들이 완성되어 건설 현장에 보급·적용될 수 있다면 기술 선두국 진입이 가능하다.”면서

    “성과물의 실용화 기반을 조성하고 국내 건설시장에서의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를 위해 기업참여와 실증을 강화하였기 때문에 중소기업을 비롯한 다양한 기술소비자의 적극적인 사업 참여가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 국장은 이에 더해 “설계, 시공 뿐 아니라 유지관리 단계까지 건설사업 전 공정의 스마트화를 위해 각각 2천억 규모로 도로시설물 및 지하시설물에 대한 스마트 유지관리 기술 개발사업도 금년 중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하여 후속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이번 공모와 관련된 과제제안요구서(RFP), 선정평가 절차 및 방법 등은 전문기관인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홈페이지(www.kaia.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대전광역시건축사회

 

답글지움수정인쇄 아랫글 목록 윗글

LAWS의 게시물 목록
번호 글제목 일시 조회 파일
20 [보도자료]해빙기 대비 전국 966개 건설현장 일제 점검 21-02-17 68105 pdf 파일
19 [보도자료]건축정책을 통해 일상의 가치를 높이고, 삶이 행복한 도시를 만들겠습니다 21-02-17 61346 pdf 파일
18 [훈령예규고시]건축위원회 심의기준 일부개정 고시 21-02-16 86605 hwp 파일
17 [보도자료]「공공주도 3080+」 대도시권 주택공급 획기적 확대방안 발표 21-02-09 69335 hwp 파일
16 [보도자료]산업단지 결합개발 조건 완화…지역 간 균형발전 기대 21-02-05 62812 pdf 파일
15 [보도자료]도시재생 전문인력 양성·지원에 관한 기틀 마련 21-02-05 60749 pdf 파일
14 [법령][의원발의] [2107863] 건축물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허영의원등13인) 21-02-05 62390 hwp 파일
13 [보도자료]제로에너지건축물(ZEB) 혁신을 위한 전담조직(TF) 발족 21-02-04 61620 hwp 파일
12 [보도자료]1일부터 토지이용규제·도시계획 서비스 포털 통합 운영 21-02-02 58841 pdf 파일
11 [보도자료]기존 설계관행 탈피, 공공건축물 디자인을 획기적으로 개선 21-02-02 59109 pdf 파일
10 [보도자료]국토계획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21-01-22 60284 hwp 파일
09 [법령]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21-01-21 95212 hwp 파일
08 [법령]건축물 관리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21-01-21 66727 hwp 파일
07 [법령]건축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21-01-18 83602 hwp 파일
06 [법령]건축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21-01-18 65154 hwp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