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fined


“착공 전 설계도서 오류 ‘0’”…BIM 투자 나선 대림산업
인쇄
비아이엠 
2020-07-06 08:13:00
조회:115379
답글지움수정 아랫글 목록 윗글
홈페이지 http://www.cnews.co.kr/uhtml/read.jsp?idxno=202007031541038310648

출처 : 건설경제

 

 

 
대림산업 주택BIM팀이 드론을 활용한 현장측량기술을 시연하고 있다.(사진제공=대림산업)

 



‘착공 전 설계도서의 오류율을 ‘제로(0)’로 만들어라!’ 일선 현장소장부터 건설회사 경영진까지 모두가 원하지만 결코 쉽지 않은 목표다.

이를 실현하겠다며 나선 대형 종합건설회사가 있다. 대림산업은 아파트, 오피스텔 등 모든 공동주택의 기획ㆍ설계 단계부터 BIM(건설정보모델링)을 적용하고 있다. 현재 50% 수준인 적용 현장을 10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설계도면의 오차를 줄여야 실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설계 변경과 시공 오차, 공사기간(공기) 지연, 하자 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외주가 보편화된 BIM 조직을 인하우스(내부 조직)로 운용 중인 대림산업의 실험에 업계가 주목하는 이유다.

현대엔지니어링도 최근 자체 BIM 역량을 키우겠다며 전문가들을 속속 영입하고 있다.

이상영 대림산업 주택BIM팀장은 “착공 6개월 전 건축설계사에서 실시설계를 할 때 본사도 BIM 설계에 착수한다”며 “당장은 비용 부담이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BIM이 회사의 핵심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조건이 될 것이라고 보고 투자하고 있다”고 말했다.

BIM은 설계, 자재, 시공 등 건축물에 대한 모든 정보를 입체적인 3차원(3D) 영상으로 구현해주는 기술이다. 단순히 3D 모델링을 넘어 설계 오류와 공사 계획, 물량 정보 등을 담고 있어 건설산업의 생산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꿀 ‘게임 체인저’로 불린다. 지금까지는 인력ㆍ기술의 한계로 설계가 복잡한 호텔, 병원, 초고층빌딩 등 개별 프로젝트에 선별적으로 쓰였다.

대림산업은 이를 공동주택에 전면 적용하는 실험을 시작했다. 이를 위해 40여명 규모의 BIM 전담조직(주택BIM팀)을 꾸렸다. 3D 모델링과 구조ㆍ건축 설계, IT, 원가ㆍ공정관리 전문가 등 다방면의 경력자들이 포진했다.

미국건축가협회(AIA)에 따르면 BIM은 상세 수준(LODㆍLevel of Development)에 따라 LOD 100∼500으로 나뉜다. 대림산업은 현재 실시설계(300)에서 시공상세도(400)로 넘어가는 단계다. 스케치 수준인 개념설계(100)와 기본설계(200) 단계는 넘어섰고, 궁극적으로는 유지관리용 도면(500) 수준이 목표다.

대림산업은 BIM을 통해 물량산출 및 내역작성, 일정ㆍ인력ㆍ장비 등 공정관리, 설계 품질 체크 등에 활용하고 있다. 자동화 설계시스템의 경우 일조, 인동 등 사업 초기단계 검토자료로도 쓴다. 이 팀장은 “내역에서 도면을 뽑고, 도면에서 내역을 뽑을 수 있는 BIM-QDB(Quantity Data Base)를 내부 상용화했다”며 “주요 공종별로 시공ㆍ안전을 위한 엔지니어링 체크포인트도 별도로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BIM 도입을 통한 성과도 나오고 있다. 철근콘크리트 상세 BIM 도입을 통해 2D 산출 대비 철근 물량을 7% 절감했다. 현재 20여개 현장에서 사용 중인 드론을 활용한 3D 레이저 스캔의 경우 측량과 공정관리 토공 물량 확인, 안전ㆍ품질관리 등에 활용 중이다. 드론 공사관리의 데이터 오차는 3∼10㎝ 수준이다.

대림산업은 BIM 정보를 기반으로 양질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작업도 시작했다. 2009년 조달청이 발주한 국내 최초의 BIM 프로젝트인 용인시민체육공원을 시작으로 지난 10년간 50여개 프로젝트에서 추출한 다양한 BIM 자료가 쌓여 있다.

이 팀장은 “궁극적으로 공법, 마감재별로 원가예측시스템을 구축해 그동안 연면적 기반으로 따졌던 예산 견적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며 “설계, 공정, 원가관리 프로세스를 혁신하는 기본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답글지움수정인쇄 아랫글 목록 윗글

NEWS의 게시물 목록
번호 글제목 일시 조회 파일
20 ticon대림, 모든 공동주택 설계에 BIM 적용 혁신…전담팀도 구성 Open Url 20-02-03 103558  
19 ticon“올해는 BIM 확산 원년”…‘게임 체인저’ 속도 낸다 Open Url 20-01-03 105221  
18 ticon아이티엠코퍼레이션, BIMㆍ설계VE분야 두각 Open Url 19-12-24 104107  
17 ticon‘천년 가는 문화재’ 빈틈 없는 관리, 최첨단 3D 기술로 Open Url 19-12-17 101772  
16 ticon한화건설, 현장에 도입한 안전관리 기술… 드론, 앱, VR까지 Open Url 19-12-09 102710  
15 ticon유니티, 쉽고 빠른 실시간 3D BIM 솔루션 ‘유니티 리플렉트’ 정식 출시 Open Url 19-12-03 101681  
14 ticon'2019 스마트건설기술·안전 엑스포' 개최… "최신 스마트건설기술 흐름 한눈에" Open Url 19-11-27 100535  
13 ticon내년 500억이상 도로 의무화 '가물'...지침도 없고 시장변화 못 따라가 Open Url 19-11-20 100240  
12 ticon오토데스크, 토목 및 건설 협업 강화 BIM 360 Design 공개 Open Url 19-11-13 100930  
11 ticon[수요스페셜] 개방형 BIM 통해 건축인허가, 30일→1시간 Open Url 19-11-06 103541  
10 ticon오토데스크, 한층 강화된 BIM 360 공개… 간소화된 워크플로우 Open Url 19-10-31 102473  
09 ticon진화하는 BIM 프로그램… 적산·견적·시공으로 확장 Open Url 19-10-29 98238  
08 ticon‘BIM AWARDS 2019’ 작품공모 공고 Open Url 19-10-07 98625  
07 ticonLH, 'LH-BIM 로드맵' 수립... 2025년까지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기반 구축 Open Url 19-10-04 98431  
06 ticon포스코건설, 첨단 3D 기술로 현장에 ‘스마트’를 더하다 Open Url 19-10-01 97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