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 : 건설경제
국토교통부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서울 용산역 ITX 회의실에서‘1차 인프라 BIM 활성화 이슈 발굴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인프라 BIM 활성화 저해 요인과 활성화 전략 수립에 대한 활발한 의견 공유가 이뤄졌다.
또한, 인프라 BIM 대가 산정 기준이 제대로 갖춰지지 못했다는 점이 대표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유홍재 LH 공공택지사업처 차장은 “기준이 잘 갖춰진 건축에 비해 인프라 공공발주는 기준이 애매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시공사가 없다”며 “대가 기준을 빨리 세워야 한다”라고 전했다.
이에 김인한 경희대 교수는 “물량 자동화나 시공공정 산정 등 2D 도면에서 할 수 없는 도면 기반 서비스를 부가적으로 제공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발주자의 도입 요구 부족 및 BIM 발주 미시행 △인프라 BIM 로드맵 부재 △실무 적용 수준의 BIM 지침 표준 기술 부족 △투자비 손해 위험 △발주 사례 부족 △고가의 인프라 구축 비용 △전문 인력의 부족 △단기 효과 요구 △BIM 교육 기반 미흡 △대가 수립 미비 등이 지적됐다.
김병진 국토교통부 기술정책과 사무관은 “이번 회의를 통해 내년에 추진될 건설 활성화 기본계획에 BIM을 더 구체적으로 담겠다”며 “2022년부터 500억 이상 도로 사업에 BIM 의무 도입 관련 의견과 건설 및 유지 관리 필요한 정보를 설계 시 반영하는 방안 등도 검토해 보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