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 : 건설경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빌딩정보모델) 등 스마트 건설기술을 적용한 건설공사를 턴키(설계시공 일괄입찰) 방식으로 발주하는 방안이 추진돼 눈길을 끈다.
또 ‘스마트 건설기술’ 평가 항목을 신설하고, 종합심사 낙찰제 대상공사도 스마트 기술 분야에 대한 평가 배점을 상향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16일 국토교통부의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 방안’에 따르면 BIM 및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첨단 공법을 적용한 건설공사를 대형공사 입찰방법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연내 ‘대형공사 등의 입찰방법 심의기준’을 개정해 현재 특수교량과 해저터널 등 총 14종의 심의대상 시설기준에 첨단 공법을 도입한 건설공사를 추가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스마트 건설기술’ 평가 항목을 신설해 민간이 우수한 스마트 기술을 개발 또는 적용하면 평가에서 유리하도록 개선키로 했다.
아울러 추정가격 300억원 이상의 종심제 대상공사도 이 같은 스마트 기술 분야에 대한 평가배점을 상향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국가계약법 개정을 통해 스마트 기술로 공사비를 절감하면 발주청과 협의해 절감금액의 70%까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또 드론 조정, 무인화ㆍ모듈 시공 등 위험 요인이 있는 기술에 대한 운용자격을 검토해 스마트 기술에 관한 대가ㆍ안전기준 등의 제도를 마련할기로 했다.
더불어 턴키는 2019년, 500억원 이상 도로사업은 2020년에 BIM 설계를 의무화하고 다른 사업으로 점차 확대하는 한편 스마트시티 등에 BIM 기반 패키지형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시범사업은 기술경쟁을 위해 턴키 또는 기술제안입찰 방식으로 발주하고, 기술력만 평가하는 확정가격 최상설계 방식으로 평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스마트시티 관련 시범사업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세종 5-1생활권(274만㎡), 한국수자원공사가 부산 에코델타시티 2단계 4공구를 각각 집행하고, 도로는 한국도로공사가 양평∼이천 고속도로 2공구를, 철도는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인덕원∼수원 복선전철을 각각 선보인다.
이 밖에 내년에는 500억원 이상 공공 건설현장에 IoT에 기반한 실시간 현장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굴삭기와 도저 등 스마트 건설장비 기술개발과 현장 도입도 활성화한다.
또 스마트 건설기술이 건설신기술로 지정될 수 있도록 연내 ‘건실신기술 심사 규정’ 개정도 추진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내 건설산업은 각종 대책에도 불구하고 안전도는 취약하고 선진국에 비해 생산성도 저조하다”며 “공공부문이 민간의 기술개발을 견인하도록 올 하반기 의견수렴을 거쳐 기술로 평가하는 발주제도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관련업계 관계자는 “‘스마트 건설기술’에 대한 준비를 해왔는데 이렇게 빨리 제도화될 지는 몰랐다”며 “특히 기술형입찰에 신설될 ‘스마트 건설기술’ 평가 항목은 기존 설계심의분과위원이 수행하기엔 한계가 있어 새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