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S건설, 오토데스크 기술로 BIM 워크플로우 향상 | ||
오토데스크는 GS건설이 BIM(빌딩 정보 모델링) 기술 활용을 위한 단계별 전략의 하나로 오토데스크 클라우드 및 레이저 스캐닝 기술을 도입했다고 발표했다. GS건설은 이번에 새로 추가된 오토데스크 기술을 통해 린 건설(lean construction) 기법을 토대로 한 선진 공사 기법으로 전환하고, 설계 초기 단계부터 공사 및 유지까지 BIM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BIM은 불필요한 반복 작업과 오류를 줄이고 협업을 강화해 보다 우수한 프로젝트 결과를 창출한다고 입증된 3D 디자인 프로세서이다. 새로운 기술을 발빠르게 도입해 온 GS건설은 오토데스크 빌딩 디자인 스위트(Autodesk Building Design Suite)의 많은 툴을 이용한 기존의 BIM 워크플로우에 오토데스크 리캡(Autodesk ReCap) 레이저 스캐닝 기술과 오토데스크 BIM 360 글루(Autodesk BIM 360 Glue)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를 적용했다. GS건설은 적극적인 기술 도입으로 선두 입지를 굳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GS건설은 글루와 리캡을 워크플로우에 새롭게 통합돼 현재 서울 파르나스 타워 증축에 활용함으로써, 국내 최초로 레이저 스캐닝 기술을 건설 프로젝트에 성공적으로 사용하고 오토데스크 클라우드 건설 기술을 실행한 아시아 최초 기업이 됐다. 증축, 개축 및 신축 공사가 함께 이뤄지는 이번 공사에 GS건설은 시공뿐만 아니라 설계 및 엔지니어링 관리를 통한 비용까지 담당하고 있다. GS건설은 프로젝트 결과 최적화 및 비용 절감을 위해 오토데스크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오토데스크 레빗 아키텍처(Autodesk Revit Architecture)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설계 단계에서 생성된 지능형 3차원 3D 모델을 오토데스크 나비스웍스 매니지(Autodesk Navisworks Manage) 소프트웨어와 통합해 공종간 오류 및 간섭을 검토 및 조정한다. 리캡은 건물의 레이저 스캐닝을 통해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그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올리면 BIM 360 글루로 현장에서 이를 분석할 수 있도록 돕는다. GS건설 정연석 차장은 "오토데스크 소프트웨어는 GS건설 사용 목적에 부합했을 뿐만 아니라 설계 정보를 시공 단계까지 연결해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 시공 중 설계도와 일치하는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S건설은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해 3D데이터를 확보하고, 오토데스크 리캡 소프트웨어로 스캔 데이터를 정리하고 나비스웍스 소프트웨어로 일치하지 않는 부분을 확인해 불필요한 설계 오류를 방지했다. 기존 시설물을 레이저로 스캔한 데이터를 오토데스크 리캡으로 옮겨 저장하면 데이터 용량이 50% 가량 줄어들어 관리 및 작업이 훨씬 용이해진다. 이 파일을 나비스웍스 매니지에서 열어 기존 BIM 모델과 비교해 정확도를 높힐 수 있다. 이러한 결과물은 시공 품질 검토가 가능해 시공 오차에 따른 비용 상승 및 공기 연장을 방지할 수 있다. GS건설은 건설현장에서 사전시공 과정에 대한 BIM 데이터 활용을 위해 BIM 360 글루를 사용했다. 파르나스 타워 건설은 기존의 구조물의 존치, 증측 및 신축이 혼합되어 기존 구조 요소에서 재건축할 요소와 철거해야 할 요소를 구분해야 했다. 글루를 활용해 구분한 결과를 클라우드 서버에 BIM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공사 현장에서 그 결과를 확인하며 공사를 수행했으며, 필요 시 언제든지 조정이 가능했다. BIM 360 글루는 현재 일부 복잡한 구간에만 사용하고 있지만 GS건설은 향후 모든 공종과 구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체계를 구축해 가고 있다. 정 차장은 "BIM 360 글루로 건설 현장에서 BIM 기반의 사전 시공 결과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과거에는 2D 도면 복사본 몇 장만 가지고 현장에 나가 작업했지만 이제는 통합 조정된 BIM 기반의 사전 시공 결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면서 공사를 수행할 수 있어 시공 오류를 피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정수진 sjeong@cadgraphics.co.kr | ||
출처 : CAD&Graphics 2014년 11월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