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fined


건기연, BIM·GIS 기반 '건축물 지진안전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인쇄
비아이엠 
2020-03-03 08:05:21
조회:106730
답글지움수정 아랫글 목록 윗글
홈페이지 https://www.etnews.com/20200302000263

출처 : 전자신문 / etnews

 

 

 
BIM GIS 기반 건축물 지진안전 통합관리시스템 마스터 플랜

<BIM GIS 기반 건축물 지진안전 통합관리시스템 마스터 플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한승헌)은 건물정보시스템(BIM)·지리정보시스템(GIS)을 기반으로 건축물 내진성능평가 자동화, 지역·국가 단위 건축물 내진 성능 통합관리가 가능한 '건축물 지진안전 통합관리시스템'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BIM을 통해 건축물 구조안전과 관련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확보 처리하고, 이를 활용한 내진성능평가를 자동화한다. 또 이를 GIS와 결합, 개별 건축물 내진성능평가 결과를 지역·국가 단위로 시각화해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건기연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요소에 첨단 정보기술(IT)을 적용했다. 정보추출 자동화 모듈은 방대한 양의 건축물 정보 가운데 내진성능평가에 필요한 정보만을 효율적으로 추출한다. 기존 도면이 없는 대다수의 노후 건축물은 3D 스캔 기술로 데이터베이스(DB)화 할 수 있다.

내진성능평가 자동화 모듈은 높이, 층수, 시스템, 부재 치수, 철근 배근량 등 간단한 구조정보를 바탕으로 내진성능평가 가능한 기법을 자동화한 기술이다. 건축물의 간단한 고유 특성정보를 기반으로 사전에 구축된 방대한 양의 DB를 활용, 건축물 내진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신속 내진성능평가 엔진 기술도 더했다.

유영찬 건기연 선임연구위원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정부 혹은 지자체별로 지진재난에 대한 선제 대응 전략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면서 “각 지자체에서 진행 중인 기존 건축물의 내진진단 및 보강대책 수립 시 내진진단 및 보강 사업이 필요 없는 튼튼한 건축물은 사전에 제외시키고 실제 많은 피해가 우려되는 건축물에만 내진설계를 집중 보강하는 식의 예산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답글지움수정인쇄 아랫글 목록 윗글

NEWS의 게시물 목록
번호 글제목 일시 조회 파일
05 ticon“BIM·4차 산업혁명 기술 활성화가 건축산업 진화 견인한다” Open Url 19-09-11 96277  
04 ticon내일 국회서 '스마트 건설기반 구축 BIM 심포지엄' Open Url 19-09-10 96306  
03 ticon오토데스크, 빌딩커넥티드와 플랜그리드 제품 통합..."시간 및 오류 절감" Open Url 19-08-20 94318  
02 ticon마이다스아이티, 대한민국 토목BIM으로 전세계에 국내기술력을 자랑하다 Open Url 19-08-19 94756  
01 ticon2000억 규모 스마트 건설기술 R&D 내년부터.. 스마트 유지관리 R&D도 추진 Open Url 19-08-16 9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