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원 설계로 오류 줄이는 `BIM`… 올해부터 공공 건설 도입 본격화
인쇄
비아이엠 
2018-02-27 08:26:28
조회:64282
답글지움수정 아랫글 목록 윗글
홈페이지

출처 : 경제신문 디지털타임스

 

 

3차원 설계 기법인 BIM(빌딩정보모델링)이 올해부터 공공 건설분야에 속속 도입된다.
 
BIM은 기존의 평면 설계도면(2D)을 3차원(3D)으로 설계하는 것이다. 복잡한 철골 구조물 설계부터 제작 및 설치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하고 빠른 시간 내 시공을 완료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전망이다.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상반기 서울지방국토관리청에서 발주 예정인 실시설계 단계의 교량 사업이 BIM 기반으로 이뤄지며, 한국도로공사는 다음 달부터 교량건설정보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케이블 교량 전주기 연구에 착수한다. 3D 모델링을 통해 고속도로를 설계하고 이를 활용해 시공 및 유지 단계까지 시설물의 총 생애주기에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다. 

한국도로공사 초장대교량사업단에 따르면 올해부터 내년까지 3차원 통합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리자 육성 및 전담 부서 등을 신설한다. 2020년 이후에는 보수 이력 3차원 시각화 및 모바일 공유 기술 개발, 설계·시공·유지관리 분야별 무형 자산 데이터화, 국내외 신규 고속도로 사업에 BIM 전면 도입, 자율차 등 차세대 교통체계(무인운전 등)에 맞는 BIM 설계 사업 고도화 등을 꾀한다.

BIM은 국내 건설 공사 현장 곳곳에서 적용되고 있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지난해 10월 착공에 들어간 광주 송정과 목포를 잇는 호남고속철도 2단계 건설사업(광주송정∼목포) 중 '나주역사 증축공사' 시공에 BIM을 적용 중이다.  

민간 건설사 중에서는 포스코건설이 이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지난 1월 클라우드 시스템과 빔(BIM) 기술을 융합한 설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계, 설비, 조경, 안전 등 분야별 담당자가 동시에 클라우드 시스템에 접속해 실시간으로 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게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BIM을 오는 6월부터 국가 스마트시티 사업에 필수 적용해야 하는 기술로 반영하고, 2020년까지는 500억원 이상 도로사업, 2030년까지 모든 국토건설공사에 BIM 적용을 의무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답글지움수정인쇄 아랫글 목록 윗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