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fined


BIM 건설현장 적용, 왜 이렇게 힘든 걸까?
인쇄
비아이엠 
2015-08-25 09:50:44
조회:79354
답글지움수정 아랫글 목록 윗글
홈페이지 http://www.conslov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9243

출처:한국건설신문

 

BIM을 건설현장에 적용하는 것이 왜 이렇게 힘든 걸까?

박상혁 한미글로벌 건설전략연구소장


국내 건설 산업에서 BIM 도입의 가장 큰 문제점은 현장의 니즈(Needs)에 따라 도입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한번 적용해 본다

는 기업 홍보적 성격으로 접근했다는 것이다. 타 기업과의 차별화를 위해서는 일반적인 2D보다는 상대적으로 시각적 효과가 큰 3D

를 선호했고 이를 기반으로 한 영업 전략도 추진됐다. 그러다 보니 현장 니즈보다는 기대효과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다.
 

일부 니즈가 반영된 현장도 마찬가지다. BIM은 MEP(Mechanical, Electronic, Plumbing) 분야에서 효과가 더 크다. 그래서 MEP

담당 기술자들은 관심이 많았다. 그러나 실상은 건축 중심의 BIM이 중심이다 보니 BIM의 적용효과가 격감될 수밖에 없다.
 

둘째, 기업은 투자와 동시에 단기적 성과를 요구하고 있다. 비용대비 효과를 따지는 것은 기업의 생리이고 당연한 일일지 모른다. 하

지만 당장 소프트웨어 구입만으로 수익이 창출되는 것은 아니다. 신 기술도입의 성과는 기반조건, 대상과제, 활용인력, 제도지원 등

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난다. 이런 시간적 배려 없이 단기 성과만을 추구하면 얻을 수 있는 성과도 그만큼 줄어들게 되고 줄어든 성

과는 기술 도입의 부정적 이미지를 남기게 된다. 기술적 진보가 바로 활용의 바로미터가 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셋째, BIM은 소통과 협력의 도구이다.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가 같은 목표를 가지고 같은 도구를 활용하여 수행해야

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 경우 BIM은 효과적인 도구이다. 따라서 협력업체를 포함한 모든 참여주제가 BIM에 대한 동등한 수준이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BIM은 프로젝트 전체를 관리하는 기술이기도 하다.
 

BIM 적용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접근보다는 제도개선과 인력역량 강화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BIM이 기술적으

로 발전하면 할수록 실제 건설 산업의 니즈와는 점점 멀어질 수밖에 없다. BIM이 적정기술로서 현업에 적용되고 현업에서 운용되면

서 발생한 기술적 욕구를 반영해 소프트웨어를 개선한다면 보다 선순환적인 BIM 적용과정이 될 것이다. 제도개선과 인력역량 강화

를 위한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첫째, BIM 적용에 따라 일하는 방식이 달라져야 한다. BIM은 단순히 새로운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 하던 일을 함께 할

수 있도록 일하는 방식을 변화시킨다. 그렇기 때문에 계약방식이 달라져야 하고 시공단계보다는 시공 전 단계 즉, Preconstruction

단계에서의 역할과 기능이 중요해 진다. 사업초기에 모든 주체에 의한 빠른 의사결정은 건설 사업이 가지고 있는 가장 근본적인 문

제 해결방법이고 건설프로젝트가 성공하기 위한 핵심요소이기도 하다.
 

둘째, 현장 사용자 중심으로 BIM적용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술 혁신의 전제 조건은 타당한 경제성, 충분한 인프라, 그리고

혁신 주체 존재이다. BIM은 어디까지나 도구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업무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자신의 방식대로 사용하고

이런 현상은 새로운 영역을 탄생시킨다. 도면을 그리는 것에서 자연스럽게 4D(Schedule), 5D(Cost)까지 영역이 넓어질 것이다. 지

금처럼 아직 3D 도면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4D, 5D를 고민하는 우를 범하지 않아야 한다.
 

셋째, 산업계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시스템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 대학 및 전문교육기관의 맞춤형 교육시스템 개발을 산업계가 선도

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업계가 요구되는 BIM 전문 인력을 명확하게 정의한다면, 대학 및 전문교육기관은 푸시형 전문 인력

공급이 아닌 풀형으로 인력을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 건설 기능 인력에 대한 재교육도 필요하다. 소프트웨어 사용법 교육보다

는 현장의 여건을 반영한 수정 보완된 교육이 필요하다.
 

물론 교육대상자는 협력업체를 포함한 모든 주체가 돼야 한다. 왜냐하면 BIM은 동등한 위치에서 각 주체 간의 노하우를 공유하는

소통의 장이기 때문이다.
 

건설 사업에서 BIM을 활용하는 것은 건설정보체계가 2D에서 3D로 변화하는 과정으로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3D는 2D보다 정보량

이 월등하고 이런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그래서 많은 건설 기업들이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 BIM

을 도입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답글지움수정인쇄 아랫글 목록 윗글

NEWS의 게시물 목록
번호 글제목 일시 조회 파일
50 ticon현대ENG, BIM·AI·모듈러 등 건설기술 통합 공모전 Open Url 21-08-19 86879  
49 ticon표준체계 기반 BIM 자동화 모델링, SOC BIM 플랫폼으로 확대 Open Url 21-08-10 99370  
48 ticon쌍용건설, 국내・외 40개 프로젝트에 BIM 적용 ‘최고 기술력’ 발휘 Open Url 21-07-29 108785  
47 ticon건설업계 부는 메타버스 바람…설계부터 시공까지 Open Url 21-07-15 104804  
46 ticon국내 최초 안전관리를 위한 BIM, 안전사고 사전에 제어한다 Open Url 21-07-14 114796  
45 ticon삼성물산, 업계 최초 BIM 국제표준 인증 Open Url 21-06-25 107199  
44 ticon글로벌 BIM 전문기업 태성에스엔아이, 국내 민간기업 최초 ISO19650 인증 Open Url 21-06-18 107112  
43 ticon현대건설, '스마트 공사관리 플랫폼' 개발… 건설 전과정 BIM 기반 관리 Open Url 21-06-01 108425  
42 ticonHDC현산, BIM 적용 등 "현장도 디지털로 스마트하게" Open Url 20-11-24 109446  
41 ticonSK건설, 스마트콘 포럼서 ‘BIM기반 PC자동화 솔루션’ 선보여 Open Url 20-11-02 110974  
40 ticon알맹이 없는 BIM 경연대회 ‘망신살’ Open Url 20-09-15 114320  
39 ticon트림블코리아, 산학협력 활성화로 BIM 전문가 양성 Open Url 20-08-25 116828  
38 ticon국내 건설사 10곳 중 8곳, BIM 적용 1~20% 그쳐 Open Url 20-07-23 114653  
37 ticon[10년 전 오늘] 스마트 건설 기술 'BIM' 10년 전엔? Open Url 20-07-16 120525  
36 ticon인프라 BIM, “이제는 활용에 중점을 둘 때” Open Url 20-07-06 113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