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주택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인쇄
비아이엠 
2013-06-19 11:31:23
조회:2229
답글지움수정 아랫글 목록 윗글
첨부 파일

□ 주택법 시행령 일부개정령(대통령령 제24622호, 2013.06.17공포, 06.19시행)


1. 개정이유


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분쟁을 효율적으로 심사ㆍ조정하기 위하여 하자심사ㆍ분쟁조정위원 회의 위원 수를 확대하고,

분과위원회 및 소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내용으로 「주택법」이 개정(법률 제11590호, 2012. 12. 18. 공포,

2013. 6. 19. 시행)됨에 따라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한편, 원룸형 주택의 최소 주거전용면적

기준을 상향 조정하고, 공동주택관리분쟁조정위원회의 위원 구성을 변경하는 등 현행 제도의 운영상 나타난 일부 미비점을

개선ㆍ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가. 원룸형 주택의 최소 주거전용면적 기준 상향 조정(안 제3조제1항)

도시형 생활주택 중 원룸형 주택의 최소 주거전용면적 기준을 12제곱미터에서 14제곱미터로 상향 조정하여 주거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함.


나. 하자심사ㆍ분쟁조정위원회의 분과위원회 구성 등(안 제62조의2, 안 제62조의3 신설 등)


1) 하자심사ㆍ분쟁조정위원회의 위원수를 15명 이내에서 50명 이내로 확대하고, 분과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도록 법률이 개정됨에

    따라 분과위원회의 구체적인 구성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할 필요가 있음.
2) 하자심사ㆍ분쟁조정위원회에 하자 여부 판정 또는 분쟁의 조정 등 전문분야를 고려하여 5개 이내의 분과위원회를 둘 수 있도록

   하고, 5명 이내의 부위원장을 둘 수 있도록 하는 등 하자심사ㆍ분쟁조정위원회가 관련 분쟁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함.


다. 공동주택관리분쟁조정위원회의 구성 변경 등(안 제67조제1항)


1) 공동주택관리분쟁조정위원회의 위원에는 분쟁 당사자가 추천하는 사람이 포함되어 있어 분쟁 해결의 전문성과 공정성에

   한계가 있음.
2) 공동주택관리분쟁조정위원회를 구성할 때 분쟁 당사자가 추천하는 사람을 배제하도록 함.
 

 

답글지움수정인쇄 아랫글 목록 윗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