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인프라 BIM 적용 가속도
인쇄
비아이엠 
2017-10-23 08:06:29
조회:67714
답글지움수정 아랫글 목록 윗글
홈페이지

출처 : 건설경제

 

 

해외에서 도로나 철도 등에 대한 인프라 BIM 적용이 크게 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다양한 BIM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이 분야에서 앞서나가고 있다.

오레건주 포트랜드의 셀우드 교량 재건축 프로젝트(Sellwood Birdge Reconstruction Project in Portland Oregon)는 BIM 소프트웨어로 설계와 시뮬레이션이 이뤄졌다. BIM을 통해 건설 대안을 탐색하고 평가했으며 그 결과 정확한 위치를 측정했다.

‘셀우드 교량 웹 사이트’에 따르면 프로젝트 기간이 약 1년 단축됐으며 비용은 최소 약 500만달러에서 최대 약 1000만달러 감소했다. 데일리 저널 오브 커머스(Daily Journal of Commerce)가 이 공사를 ‘2017년 올해의 프로젝트’로 선정되기도 했다.

미국은 2010년대 초기부터 여러 인프라 BIM 사업에 성공했다. 대표적으로 △페코스 도로 교량(Pecos Street over I-70 Bridge) △애리조나 코르데스 교차로(Cordes Junction Interchange in Arizona) 등이 있다.

멕그로우힐 건설(McGraw-Hill Construction)에서 2013년 내놓은 ‘미국 내 인프라에 대한 BIM 적용(Implementation of BIM for Infrastructure)’ 보고서에서 프로젝트의 절반 이상에 BIM을 적용하는 건설사가 무려 54%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서는 상하이 지하철 17라인이 BIM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시공단계부터 BIM이 적용돼 지하시설과 교량 배수 등의 간섭 검토에 유용하게 활용됐다.

건설자재에 QR 코드를 부착해 자재를 적재적소에 투입하는 작업도 진행했다. 이로써 자재 조달 기간이 25% 단축됐다.

시공기간은 15일가량 단축되고 시공비는 30% 단축됐다. 대략 100만위안(한화 1억7000만원)이 절약된 것으로 알려졌다.

프로젝트 관계자는 “BIM으로 세부 설계도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좋았다”라고 전했다.

노르웨이의 75㎞에 달하는 솔리 부르문달(Sørli-Brummunddal) 철도도 BIM을 바탕으로 진행됐다. 이 공사는 지형이 험난하고 국제 습지 보호협약인 ‘람사르 협약’에서 지정된 습지를 끼고 있어서 매우 까다로운 공사였다. 또한, 지역 주민과 언론, 사회단체를 설득하고 동의를 이끌어내야 했다. 이 과정에서 BIM은 설계 제안, 시뮬레이션, 분석, 공유 등에 활용됐다.

또한, 홍수 위험성도 존재했는데 건설사는 BIM으로 200년간 홍수 재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해 영향을 확인했다.

프로젝트 관계자는 “BIM을 통해 환경에 영향을 줄이는 방법을 고안했다”며 “설계 최적화와 공유를 통해 민주적인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었고 투명성도 제고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답글지움수정인쇄 아랫글 목록 윗글